세상의 모든 정보
문화의 변화, 게임 본문
2005년 대학시절에 친구와 이야기를 하던 중에 제가 그랬습니다. “지금까지 놀이 문화가 많이 바뀌었다. 앞으로 우리가 나이가 들면 사람들이 당구장만 가는게 아니라 피씨방에 갈지도 모른다.”
그때 친구가 제게 그랬습니다. “엉뚱한 소리 좀 하지 마라, 어떻게 나이든 사람들이 모여 피씨방을 가니. 게임은 학창시절에나 하는 거다”
그때 이런 주제로 2시간가량 논쟁을 한 것 같습니다.
저의 주장의 근거는 학창시절에 게임을 하는 사람들이 늙어도 자신들이 좋아하는 취미가 있어서 심심할 땐 게임을 찾을거다. 그리고 게임도 계속 발전한다.
우리가 늙어도 더 흥미진진한 게임이 계속 나올 거고, 게임 시장은 계속 확대가 된다는 것“이였습니다.
당시 저의 친구는 게임을 학창시절에만 하는 잠시 스치듯이 지나가는 놀이처럼 생각했던 것같습니다.
지금은 시대가 어떻게 바꿨는지 말해 보고 싶습니다.
물론 게임을 위해서 최신형컴퓨터와 과금게임에서 돈을 털어 넣는 사람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비싼 취미활동을 하게 되는 거지요.
이 글을 보시는 분들 중 학창시절에만 게임을 하고 지금은 등산, 당구, 낚시 등의 취미만 가지고 계신분들이 있나요?
게임을 계속하지는 않더라도 심심할 때 다시 피씨게임을 하시는 분들은 없나요?
그리고 핸드폰게임은 어떤가요?
이제는 게임 산업이 핸드폰까지 확대되어 핸드폰으로 “자동사냥”을 하거나 조작게임을 절대 하지 않으시는 분들이 있나요?
게임시장의 변화는 문화의 변화라고 생각합니다.
70~80년대 어르신들은 당구, 기타치며 노래하기 등이 놀이 문화였다면 우리세대는 이제 게임이 주된 놀이 문화입니다.
계속 시대가 바꿔가고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이제는 게임이 한 문화를 차지 하고 있습니다.
당시 우리의 나이가 22살이었습니다. 지금은 30대중반인 저는 아직도 간간히 게임을 합니다. 학생때보다 하루중 시간 여유가 적어서 많이는 못하고 학원이라도 다니면 저녁에 시간이 안나서 1년내내하지 못할 뿐입니다. 1분기별로 한번씩 신작게임이나 고전게임중 시간을 때울만한 것을 찾습니다.
게임이 다른 놀이보다 좋은점이 있어서 전 아직도 게임을 하는 것 같습니다.
제가 본 게임의 장점은
1.술마시는 것보다 몸에 덜 해롭습니다. 이것으로 결론이 “술마시는 것보다 낫다.”라는 단편적인 시각을 이야기 하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술도 사람들끼리 만나서 이야기를 나누며 정보교환도 하고 오랜만에 친구들을 보는 장점도 있습니다.
그러나 술은 매일 먹으면 몸에 조금씩 무리가 오지만 게임을 집에서 하다 보니 같은 시간을 해도 몸에 큰 무리가 오지 않습니다.
2. 혼자서도 할 수 있다는 겁니다. 전에 조기 축구회에서 축구를 할때 쯤에 저녁에 갑자기 공이 차고 싶어서 혼자 학교 운동장에서 벽보고 공을 찼습니다.
저녁을 먹고 난 뒤 축구를 하자고 동호회 사람들을 부를 수가 없었습니다. 당시 하고 싶은 것은 축구였습니다. 그러나 사람이 없어서 공만 몇 번 차다가 집으로 왔습니다.
반면 게임은 혼자 접속해서 같은 온라인상에 있는 사람들과 게임을 같이 할 수 있습니다. 취미 생활중 혼자할 수 있는 것이 많이 없는데 게임이 그런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3. 다른 취미에 비해서 돈이 적게 들어 갑니다.
탁구 칠때 일주일에 20분씩 3번 레슨 + 탁구장 이용비로 150,000원을 냈습니다.
6개월 정도 탁구를 치고 그만 두었습니다. 그리고 탁구복, 라켓, 러버, 탁구공, 탁구화까지해서 약 70만원의 장비구입비가 투자되었습니다.
기타를 칠때도 기타 40만원에 레슨비 15만원이 투자되었습니다.
취미로 시작한 일에 제 입장에선 거금이 투자되었습니다. 수영도 마찬가지,권투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기타와 탁구, 수영, 권투는 생산적이며 다른 곳에서도 활용도가 있지만 게임은 그렇지 않다”라고 하시는 분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물론 그들의 말도 인정합니다.
그러나 모두 취미의 시각에서 볼 땐 그렇게 생산적인 것도 아닙니다. 취미의 시각에선 본다면 “그 시간을 재미있게 즐겼냐”로 판단해보자면 게임 역시 저들과 다름없이 재미있었습니다.
저는 이글에서 지금 우리가 게임을 하는 것은 문화의 변화이고, 게임을 취미로 가진다면 장점도 다른 취미에 비해서 장점도 있다는 것을 말하고 싶습니다.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복되는 한국의 영상 컨텐츠 (0) | 2018.05.13 |
---|---|
우리나라 게임의 문제점 (0) | 2018.05.12 |
공무원들이 이야기하는 좋은점과 나쁜점 (0) | 2018.05.02 |
2018년 4월 3차 남북 정상회담 (0) | 2018.05.02 |
KT에서 만든 문자 전송 사이트 "크로샷" (0) | 2018.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