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KT에서 만든 문자 전송 사이트 "크로샷"

정보의 인포메이션 2018. 5. 1. 22:22

단체 문자 보낼 때 핸드폰으로 불편한 점이 많이 있습니다.


연락처에 있는 사람을 다 찍어서 장문의 문자를 쓰는것에 불편함이 있고 문자를 예약해서 보내기가 힘든 부분이 많습니다.


이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문자 서비스가 KT에서 개발한 크로샷입니다.

홈페이지 주소 : WWW.xroshot.com


크로샷은 한국통신KT에서 개발한 통합메시징서비스입니다.


요즘은 사설 메시지 서비스가 많이 나와있지만 전 KT가 좀 더 좋아보여서 크로샷을 쓰고 있습니다.


크로샷에서 제공 되는 서비스는 어떤것들이 있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 핸드폰으로 90 byte(한글기준 45자)를 보내는 문자메시지(SMS)

- 핸드폰, 일반전화 긴 내용을 음성으로 변환해서 보내는 음성메시지(VMS)

- 상대방의 팩스기기로 팩스를 보내는 팩스메시지

- 상대방의 팩스기기로 부터 팩스를 받는 팩스수신 서비스

- 핸드폰으로 문자를 보내서 문자를 받은 사람이 통화버튼을 눌러서      음성을 청취하는 문자플러스

- 핸드폰이든 일반전화든 ARS전화설문조사를 할 수 있는 서비스

- 핸드폰으로 긴문자메시지, 동영상, 이미지를 보내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오늘은 제일 많이 쓰는 문자 메시지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일반적인 문자를 보낼 수 있고 대량으로 보내는 것과 예약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아래는 대량으로 보내는 법과 예약하는 기능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핸드폰하고 다르게 좋은 기능 중 하나는 “보내기 예약”으로 원하는 시간에 전송할 수있습니다.



대량의 전화번호는 엑셀로 정리하여 한번에 발송할수 있습니다.






전송을 예약한 뒤 전화번호와 시간, 날짜를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또는 발송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끝으로 통합메시징서비스의 정의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일반전화망(PSTN)을 이용해 음성(전화), 팩스, 메시지는 물론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전자우편까지 장소·시간·단말기에 관계없이 서로 다른 메시지를 단일한 메일박스에서 통합운영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이다.


일반전화망(PSTN)을 이용해 음성(전화), 팩스, 메시지는 물론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전자우편까지 장소·시간·단말기에 관계없이 서로 다른 메시지를 단일한 메일박스에서 통합운영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이다.


기존 일반전화망 무선전화 인터넷망 등으로 구분되던 각종 통신망을 단일망으로 통합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최첨단통신서비스.


이용자는 ID 하나만 가지만 전화-휴대전화-인터넷이메일-팩스 등 매체에 상관없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UMS 서비스가 대중화되면 e메일확인을 위해 PC를 켜고, 음성메시지를 받기위해 전화기와 휴대폰을 열며, 종이로 들어오는 정보를 위해 팩스 앞에서 기다릴 필요가 없다.


UMS는 일단 자신에게 온 e메일을 휴대폰을 통해 음성으로 확인한 뒤, 다시 제3자에게 팩스 전송할 수 있다. 또 E-메일 착신통보, E-메일 음성 전환, 전화를 통한 E-메일 확인, 음성메시지로 E-메일 송신, 팩스로 E-메일 보내기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UMS는 기존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존재했던 음성사서함 시스템(VMS)·팩스사서함시스템(FMS)·자동응답시스템(IVR)을 통합하기 때문에 사업자는 시스템 도입비용을 절감하고 가입자는 위치, 또는 통신 장비에 무관하게 개인의 사서함을 관리할 수 있다.


UMS는 다양한 메시지의 변환이 핵심기술로 텍스트데이터를 팩스로 보내는 TTF(Text To Fax), 이미지문서를 데이터로 전환하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TTS(Text To Speech), 음성을 인식하는 SR(Speech Recognition)기술 등이 결합된 것으로 문자인식 및 음성인식·변환기술에 의해 서비스의 질이 좌우된다.“ 라고 네이버 지식 백과에 나와 있습니다.